[살며 생각하며] 사랑의 개미들을 보내어 주소서
인생의 여정 중에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힘센 세상 경제의 개입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성정이 여린 인성일수록 이런 인생 중에 만나게 되는 힘 넘치는 경제적 개입에 무릎을 꿇게 되는 경우가 많다. 어느 누가 노숙인의 삶을 기대했겠느냐마는 이런 삶의 거센 개입에 여리고 착하여 대항하지 못한 채 갈팡질팡하게 되는 뉴욕의 노숙인 형제, 자매들이 생각보다 많다. 하나님께서는 그렇지 않고 잘 대처하며 살아가는 일반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성도들에게 이런 삶의 횡포 아래 울고 있는 이들을 돌보고 먹이고 사랑하라고 하셨다. ‘내 양을 먹이라.’ 이 말씀은 비단 주님을 배반했던 베드로에게만 하신 말씀은 아니셨다. 14년 전부터 노숙인 섬김의 집, 사랑의 집은 노숙인을 돌볼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서 시작된 사역은 전혀 아니었다. 이런 면이 나를 뭉클하게 하였다. 현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은 항상 자신을 먼저 생각하고 챙긴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사람으로 오신 시작부터 천하고 천한 곳을 찾아 말구유에서 출생하셨다. 하나님으로부터 죄로 인해 결별된 고아들인 인간을 사랑하셔서 창조주 하나님께서 스스로 자신을 돌보지 않으시고 이 땅의 가장 천한 곳으로 오셨다. 14년 전 처음 플러싱 바우니 스트리트 지하에 위치한 노숙인 셸터를 방문하면서 강력하게 느끼게 된 그곳은 예수님이 오신 마구간이었다. 정확히 내 양을 먹이라고 말씀하셨던 그 명령의 순종, 사랑이 폭발하는 현장이었다. 그곳에는 말로만 주님의 말씀을 따르는 제자가 아닌 노숙인들과 함께 지하실에서 기거하며 수족을 들며 섬기며 같은 환경 속에 삶으로 실천하는 부부 전모세 원장과 그의 전성희 사모가 있었다. 그 마구간 안에서 환하게 빛나는 생명력이 넘치는 사람들이었다. 그래 맞다. 그래서 이들이 노숙인 셸터의 이름을 사랑의 집으로 지었나 보다. 한 그릇의 식사량을 가지고 10여 명과 함께 나누어 먹는 그런 사랑이 넘쳐나는 셸터였다. 14년이 지난 지금도 그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제 사랑의 집에서 기거하다 운명한 형제의 유골을 가지고 한국으로 방문하여 안장한 뒤 귀국을 하신단다. 겨우겨우 비행기 여비를 마련하여 그 자금을 통틀어 사망한 노숙인이 조국 땅에 묻히고 싶다는 그 한마디의 말을 어떻게 하든 지키려고 다녀오신단다. 이런 대책이 서지 않는 희생을 가만히 보고 있을 수 없어 아름다운 마음을 지닌 주의 제자들이 하나둘 모여서 이사회라는 도움동아리를 만들었다. 기본적인 생활비조차 마련되지 않은 채 메추라기와 만나 같은 간헐적인 도움을 가지고 아끼고 아껴서 노숙인들과 함께 나누는 사랑을 그냥 두고 볼 수가 없어서 이사회에선 아침이슬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한 사람이 노숙인들을 돕기 위해 한 달에 자기의 한 끼 외식비를 절약해서 한 달에 25달러, 1년에 300달러를 돕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사랑의 집은 목사님들이 사역의 일환으로 섬기는 노숙인 셸터가 아니기에 일종의 외형적인 신뢰감이 충분한 그런 셸터가 아니다. 그래서인지 사회적인 조직인 교회, 기업, 독지가들로부터 거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 이사들이 부족한 도움이지만 어떻게 해서든지 식생활 걱정은 하지 않게 노력을 하고 있다. 그래서 기도한다. 주님, 인생을 살아가다 잠시 역경 앞에서 주춤 무릎을 꿇은 이 노숙인들을 위해 사랑의 개미들을 많이 보내 달라고. 이 아침이슬 프로그램으로 사랑의 집 노숙인 셸터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침이슬, 사랑의 개미 회원과 이사들이 많아지게 도와주시라고. 14년 된 노숙인 셸터 사랑의 집은 최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동포사회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상을 받았다. 그렇다. 이것이 바로 사랑의 집의 진짜 모습이다. 많은 뉴욕의 노숙인 셸터가 있지만 상 달라고 한 번도 부탁하지 않았지만 면밀히 조사하여 노숙인들을 향한 그 넘치는 진짜 사랑을 인정받은 사랑의 집. 달랑 한장의 상장이지만 조국의 대통령이 인정해주셨다는 그 인정 때문에 힘을 내고 다시 일어서는 전모세 원장. 우락부락하고 거칠어 보이지만 정 앞에 울고 노숙인의 눈물 앞에 속절없이 가슴을 치며 무릎으로 눈물로 주님께 부르짖는 진짜 사랑꾼 전모세 원장을 처음부터 알게 된 나는 정말 그 사랑의 참 증인이다. 사랑의 집(718-216-9063), 아침이슬 후원 담당자 김혜선 이사(917-902-6585). 황규복 / 장로·사랑의 집 이사·뉴욕한인장로연합회장살며 생각하며 사랑 개미 진짜 사랑꾼 아침이슬 사랑 순종 사랑